본문 바로가기
기획/서비스 기획

기획 직무의 구분 - 사업기획, 서비스기획

by Myeong-ee 2023. 10. 15.


첫 취업 당시 많은 공고와 면접을 보면 '기획'이 붙은 직무가 굉장히 많았다.

특히 내가 지망하는 사업 기획 분야는 마케팅과 경계가 희미해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더 구분하기 모호하다.

 

사업기획, 서비스기획, 상품기획,

마케팅기획, 영업기획,

전략기획,

경영기획,

개발기획 등

 

내 경우에는 사수 없이 첫 회사를 다니며 드넓은 범위의 일을 하다 '기획' 포지션의 경계선이 희미해졌었는데,

중고신입 이직 당시 면접을 보러 가서

어떤 젠틀한 면접관의 "기획은 직무가 아니라 업무"라는 조언을 듣고 직무를 정립하게 되었던 것 같다.

 

면접도 자주 보러 다니면 얻는 것이 많습니다:)

 

 

 

서비스 기획/ 개발 단계별 업무


나는 비 IT분야의 사업기획을 하다 IT산업군으로 넘어오면서 서비스기획을 막 시작한 중고 주니어로서 사업기획이 좀 더 익숙한데,

서비스기획과 사업기획 담당자들은 대부분 상대방의 업무를 훨씬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다.

 

사업기획은 서비스가 첫 언급되고 유저에게 도달하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주로

1) 큰 범위의 문제 발견과 해결방향 설정

2) 그것의 BM화

3) 해결책을 실현하기 위한 모든 일 (브랜딩, 정부사업 관리, 외부 업체 제휴, 고객사 대응 등 주로 외부 커뮤니케이션)

 

업계, 회사에 따라 업무가 정말 다양하고 범위가 넓은 포지션이다.

 

 

 

서비스 출시까지의 플로우를 그려보면 이런 식이 된다.

 

 

 

기획 직무의 구분

 

1. 전략기획

 

전략

  • 사업을 잘 되게 하기 위해 세운 전략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 방책, 또는 방략

 

전략의 구분

  • 경영 전략
    • 기업의 경영에 필요한 전략을 총괄적으로 얘기. 즉 아래의 모든 개념을 포괄.
  • 기업 전략(corporate strategy)
    • 여러 사업을 거느린 기업 또는 기업 집단의 전략
    • EX. 삼성전자 - 여러 사업 중 어느 사업에 투자하고, 어느 사업은 축소하는 사업 포트폴리오 전략 등
  • 사업 전략 (business strategy) = 사업 단위 전략(business unit strategy)
    • 하나의 사업을 위한 전략
    • 기업에서 전략이라고 하면 대개 사업 전략을 의미
      • 하나의 사업부에도 여러 제품 또는 여러 고객군이 있는 경우, 사업부의 전략도 기업 전략적인 요소를 포함
      • 참고
  • 기능적 전략 (functional strategy)
    • 마케팅 전략, 영업 전략, 생산 전략, 물류 전략 등 사업을 위한 한 기능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다루는 전략

 

전략 기획

  • 타겟 : 상대 or 시장 설정
  • 목표 : 시장 정착, 경쟁사 역전, 매출 증대 등 목표 설정
  • 방향 : 목표 달성을 위해 1) 비교 우위의 강점 활용, 2) 강점 강화, 3) 약점 보완 등의 방향 설정
  • 수단 및 과업 : 목표+방향을 달성할 방식과 과업 구체화
  • 자원 : 예산, 인력 등 설정
  • 우선순위 설정
  • 모니터링 : 각 파트의 과업이 제대로 수행되는지

 

전략기획, 경영계획, 신규 사업 검토의 흐름

  • 근거
    • 회사의 상황, 역량과 시장의 변화 등을 볼 때 어떠한 상황/ 문제가 전망된다.
    • 해당 상황을 활용해 회사가 성장 혹은 기존 사업을 보완할 방안으로 A, B, C안을 제시할 수 있다.
    • 그 중 비용, 사업 역량,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2안이 가장 실효성이 있다.
    • 2안에 필요한 비용과 일정, 인력 등은 어떠하다.
  • 주장
    • 2안으로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A 상황을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전략기획부서의 업무

  • C레벨의 수족/ 지원 역할
    • CEO Staff, 전략 컨설팅 등으로도 호칭
    • 경영진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정성적, 정량적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
  1. 전사 전략 및 중장기 경영계획 수립
    • 전사 중장기 전략 수립 및 검토
    • 회사 전체 혹은 특정 사업 전반의 큰 사업 전략, 프로세스를 조사/ 수립
    • 기업 비전 수립, 기업 리소스 분석 및 기업 자체 포지션 분석 후 방향성 및 개선안 제시
    • 사업 로드맵 수립
    • 재무, 비용 계획 수립
    • 사내 기술력, 인력 투자 계획 설정
    • 경영관리 및 전략 방향 수립
    • 전사 차원의 프로젝트 관리 지원
  2. 신규 사업 기회, 사업성 검토 및 M&A
    • 대내외 환경, 시장, 트렌드 분석 및 업계 동향 리서치
    • 미래 비즈니스에 대한 전략 설정
    • 투자유치 지원
    • 제안서 기획
  3. KPI 및 실적 관리
    • 조직 KPI 셋업
    • 성과 측정
    • 성과관리 프로세스 설계 및 개선
  1.  

 

 

 

2. 사업기획

 

사업개발, BD(Business Development)

  • 전략의 틀 내에서 세부적인 사업을 기획
  • (예시) 전략기획 : AI 분야에 진출하자
  • (예시) 사업기획 : 생산성도구 제품에 템플릿과 샘플을 제공해주는 AI챗봇을 개발하자

 

기획의 흐름

  • 해결해야 할 문제를 찾고 아래에 따라 해결점을 정리
    • 목표 = 이 문제를 왜 해결해야 하는지 (Why)
    • 일정 = 언제, 얼마 동안 (When)
    • 담당/ 타겟 = 누구와, 누구를 위해 (Who)
    • 대상 = 어떤 세부적인 일을 (What, To do Action)
    • 방식 = 어디에서, 어떻게 나누는지 (Where, How)
  • 주장에 일관되고 합리적 근거를 제시할 줄 아는 논리적 사고 필요
    • 주장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 해야 한다.
    • 근거
      • A의 어떠한 기능, 기대효과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실제 수치, 레퍼런스 등 데이터를 제시

 

사업기획부서의 업무

  1. 사업 기회 발굴
    • 아이데이션
    • 시장조사 및 분석
    • 고객 니즈 및 pain point 분석 및 타겟 설정
    • 제품 아이디어 제시 및 보완
  2. 사업 아이디어 구체화 및 사업전략 설정
    • 사업 BM 수립
    • 사후 관리 방법 및 프로세스 수립 등
    • 사업/ 제휴 파트너 선정 및 컨택
    • 제품 공급 방식 설정
    • 마케팅 전략 수립 및 관련 데이터 분석
    • 중장기 사업 계획 수립
  3. 사업성 평가
    • 타당성 조사, 사업화 가능성 확인
    • PMF(Product Market fit) 검증
  4. 사업 세부기획
    • 사업계획서 작성, 기획 자료 등 문서화, 히스토리 관리
    • 유저 정책 설정
    • 가격정책 설정
    • 내외부 설득용 PT자료 작성
    • 필요 시 TFT 구성
  5.  사업 수행
    • 일정 관리, 산출물 관리
    • 계약, 행정 프로세스 진행
    • 마켓플레이스 등록
    • 상표 등록
    • 관련 문서화, 소개서, 제안서, 가이드 작성
    • Sales Kit 작성 및 배포
  6. 사업 성과 관리
    • 이슈 트래킹 및 프로젝트 매니징
    • 사업 실적 및 비용 관리
    • 성과 예측 및 측정

 

 

 

3. 솔루션/ 서비스기획

서비스기획부서의 업무

  • 상위기획
    • 시장조사 및 경쟁사 제품, 서비스 분석
    • 방향성, 타겟층 설정
    • PMF 검증
    • 기능/ UI/ 기타 요구사항 작성
  • 상세기획 
    • 서비스에 필요한 상세 기능 기획, 스펙, 화면 등을 기획 및 개발부서 협의 
    • 개발 및 기능 구현을 위한 문서 작성
      • 기능 리스트, 기능명세서
      • 메뉴트리(IA)
      • 유저 플로우
      • 저니맵 (*거의 안 그리는 듯)
      • 스토리보드, 화면설계서 등
    • 요구사항 구현 관련 개발팀, 디자인팀 등 협의
    • 서비스 개선 및 안정화
    • 유저 매뉴얼 작성
    • 라이선스 정책, 서비스 정책 등 정책서 작성
    • 기존 제품 및 서비스 기획,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