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취업 당시 많은 공고와 면접을 보면 '기획'이 붙은 직무가 굉장히 많았다.
특히 내가 지망하는 사업 기획 분야는 마케팅과 경계가 희미해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더 구분하기 모호하다.
사업기획, 서비스기획, 상품기획,
마케팅기획, 영업기획,
전략기획,
경영기획,
개발기획 등
내 경우에는 사수 없이 첫 회사를 다니며 드넓은 범위의 일을 하다 '기획' 포지션의 경계선이 희미해졌었는데,
중고신입 이직 당시 면접을 보러 가서
어떤 젠틀한 면접관의 "기획은 직무가 아니라 업무"라는 조언을 듣고 직무를 정립하게 되었던 것 같다.
면접도 자주 보러 다니면 얻는 것이 많습니다:)
서비스 기획/ 개발 단계별 업무
나는 비 IT분야의 사업기획을 하다 IT산업군으로 넘어오면서 서비스기획을 막 시작한 중고 주니어로서 사업기획이 좀 더 익숙한데,
서비스기획과 사업기획 담당자들은 대부분 상대방의 업무를 훨씬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다.
사업기획은 서비스가 첫 언급되고 유저에게 도달하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주로
1) 큰 범위의 문제 발견과 해결방향 설정
2) 그것의 BM화
3) 해결책을 실현하기 위한 모든 일 (브랜딩, 정부사업 관리, 외부 업체 제휴, 고객사 대응 등 주로 외부 커뮤니케이션)
업계, 회사에 따라 업무가 정말 다양하고 범위가 넓은 포지션이다.

서비스 출시까지의 플로우를 그려보면 이런 식이 된다.
기획 직무의 구분
1. 전략기획
전략
- 사업을 잘 되게 하기 위해 세운 전략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 방책, 또는 방략
전략의 구분
- 경영 전략
- 기업의 경영에 필요한 전략을 총괄적으로 얘기. 즉 아래의 모든 개념을 포괄.
- 기업 전략(corporate strategy)
- 여러 사업을 거느린 기업 또는 기업 집단의 전략
- EX. 삼성전자 - 여러 사업 중 어느 사업에 투자하고, 어느 사업은 축소하는 사업 포트폴리오 전략 등
- 사업 전략 (business strategy) = 사업 단위 전략(business unit strategy)
- 하나의 사업을 위한 전략
- 기업에서 전략이라고 하면 대개 사업 전략을 의미
- 하나의 사업부에도 여러 제품 또는 여러 고객군이 있는 경우, 사업부의 전략도 기업 전략적인 요소를 포함
- 참고
- 기능적 전략 (functional strategy)
- 마케팅 전략, 영업 전략, 생산 전략, 물류 전략 등 사업을 위한 한 기능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다루는 전략
전략 기획
- 타겟 : 상대 or 시장 설정
- 목표 : 시장 정착, 경쟁사 역전, 매출 증대 등 목표 설정
- 방향 : 목표 달성을 위해 1) 비교 우위의 강점 활용, 2) 강점 강화, 3) 약점 보완 등의 방향 설정
- 수단 및 과업 : 목표+방향을 달성할 방식과 과업 구체화
- 자원 : 예산, 인력 등 설정
- 우선순위 설정
- 모니터링 : 각 파트의 과업이 제대로 수행되는지
전략기획, 경영계획, 신규 사업 검토의 흐름
- 근거
- 회사의 상황, 역량과 시장의 변화 등을 볼 때 어떠한 상황/ 문제가 전망된다.
- 해당 상황을 활용해 회사가 성장 혹은 기존 사업을 보완할 방안으로 A, B, C안을 제시할 수 있다.
- 그 중 비용, 사업 역량,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2안이 가장 실효성이 있다.
- 2안에 필요한 비용과 일정, 인력 등은 어떠하다.
- 주장
- 2안으로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A 상황을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전략기획부서의 업무
|
2. 사업기획
사업개발, BD(Business Development)
- 전략의 틀 내에서 세부적인 사업을 기획
- (예시) 전략기획 : AI 분야에 진출하자
- (예시) 사업기획 : 생산성도구 제품에 템플릿과 샘플을 제공해주는 AI챗봇을 개발하자
기획의 흐름
- 해결해야 할 문제를 찾고 아래에 따라 해결점을 정리
- 목표 = 이 문제를 왜 해결해야 하는지 (Why)
- 일정 = 언제, 얼마 동안 (When)
- 담당/ 타겟 = 누구와, 누구를 위해 (Who)
- 대상 = 어떤 세부적인 일을 (What, To do Action)
- 방식 = 어디에서, 어떻게 나누는지 (Where, How)
- 주장에 일관되고 합리적 근거를 제시할 줄 아는 논리적 사고 필요
- 주장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 해야 한다.
- 근거
- A의 어떠한 기능, 기대효과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실제 수치, 레퍼런스 등 데이터를 제시
- 주장
사업기획부서의 업무
|
3. 솔루션/ 서비스기획
서비스기획부서의 업무
- 상위기획
- 시장조사 및 경쟁사 제품, 서비스 분석
- 방향성, 타겟층 설정
- PMF 검증
- 기능/ UI/ 기타 요구사항 작성
- 상세기획
- 서비스에 필요한 상세 기능 기획, 스펙, 화면 등을 기획 및 개발부서 협의
- 개발 및 기능 구현을 위한 문서 작성
- 기능 리스트, 기능명세서
- 메뉴트리(IA)
- 유저 플로우
- 저니맵 (*거의 안 그리는 듯)
- 스토리보드, 화면설계서 등
- 요구사항 구현 관련 개발팀, 디자인팀 등 협의
- 서비스 개선 및 안정화
- 유저 매뉴얼 작성
- 라이선스 정책, 서비스 정책 등 정책서 작성
- 기존 제품 및 서비스 기획, 고도화

'기획 >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심리학(1) - 정보 제공 (0) | 2025.02.13 |
---|---|
시장조사 방법, 주니어 기획자의 노하우 (4) | 2023.10.23 |
PO과 PM, 비슷해 보이는데... PO, PM, PL, PA의 차이 (0) | 202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