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IT 스터디

S/W의 종류 - 제품과 솔루션과 서비스

by Myeong-ee 2023. 10. 15.

나는 비 IT업종에서 이직했기 때문에
비즈니스 아이템을 기획하는 포지션으로는 '사업기획', '상품기획'이 훨씬 익숙하다.

반면 IT 산업군에서는 다른 명칭이 사용되곤 하는데,
IT 산업군에서 제품을 기획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서비스기획자'라고 하지만
실제로 제품의 종류에는 솔루션, 서비스, 플랫폼 등 여러 단어가 쓰이며 고연차 기획자들도 상세히 구분하기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SW의 형태

서비스인지, 솔루션인지의 여부는 주로 아래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1) 특정 유저(고객사)를 위한 컨설팅이 제공되는지
   (2) 프로그램을 유저가 설치하는지, 혹은 운영 중인 프로그램에 접속하는지

 

S/W (Software)

  • 컴퓨터 내 코딩으로 만든 모든 프로그램을 총칭
    1. 패키지SW (솔루션)
      • 일반적으로 필요로하는 여러 기능을 통합하여 하나의 상품으로 완성, 독립형 SW 라이선스로 제공
        (구입 후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
      • 필요한 기능들이 잘 포장되어 있어 이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 적합한 패키지SW를 구매하면
        원하는 기능들을 손쉽게 사용 가능
      • ‘카피’ 단위로 셀 수 있는 SW
    2. 서비스형SW (서비스)
      • 주문형 시스템SW 개발, 컨설팅, 교육, 관리 등 IT 서비스
    3. 임베디드SW
      • HW에 내장돼 특정 기능만 구현하는 SW
      • 중간재의 성격
      • 주로 IOT, 자율주행 차량, 스마트팩토리 등 컴퓨터가 아닌 곳에 탑재

 

제품

  • I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만들어야 하는 웹, 앱, 서버 등 폭넓은 의미로 사용
  • 사실 솔루션과 서비스가 헷갈릴 땐 제품으로 통일해서 불러도 무난
개발사
유형
기획 개발 운영/ 어드민 유지보수 커스텀/ 컨설팅
솔루션사 자체 기획 자체 개발(+외주) 고객사 직접 운영 개발사 혹은
고객
사 직접 운영
O
서비스사 자체 기획
아닐 수 있음
자체 개발(+외주) 서비스사 운영 서비스사에서 운영 X
SI사 자체 기획 아님 자체 개발(+외주) 고객사 직접 운영 개발사 혹은
고객
사 직접 운영
O

 

솔루션

  • 자사의 기획으로 만들고 제품화한 자체 개발 프로그램
    • 솔루션 구매 = 해당 솔루션의 소유권, 운영, 관리 권한 등을 고객사에서 갖는 것
  • 기본형 솔루션 자체만으로도 상품 가치가 있고, 고객사에 공급 가능하나
  • 고객 니즈에 따라 커스텀/ 컨설팅을 통해 최적화된 제품 제공
  • SI로 오인받을 수 있어 인하우스 개발자들은 꺼리는 단어라고 함 (SI : 발주사의 요구사항대로 개발 구축하는 사업)
  • 예시
    • 구매형 공공사업으로 고객의 PC로 공급되는 솔루션 (Brity RPA, 한컴오피스, V3 등)

 

서비스

  • 솔루션에 운영을 포함
    • SW 개발사와 운영사가 다를 수 있는데 솔루션사는 개발사, 서비스사는 운영사에 가깝다고 이해
  • 고객의 요구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되며, 솔루션처럼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않음
  • 고객이 기능, 개발 일정 등 서비스 개발에 관여 불가능
  • 예시
    • 네이버, 노션, 배달의 민족, 야놀자 등 고객이 접속해서 사용하는 웹/ 앱서비스

 

플랫폼

  • 한 서비스 내에서 여러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 여러 고객들이 해당 서비스들을 사용하도록 만든 것
  • 고객들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사용하는 '장소'와 유사한 개념
  • 예시
    • 카카오톡 - 채팅, 쇼핑, 게임 등의 서비스를 카카오톡 플랫폼을 통해 사용
    • 네이버 - 검색, 블로그, 쇼핑 등 여러 서비스를 네이버 포탈을 통해 사용

 

 

출처 Unsplash